반응형
전염병 역사

 

전염병의 역사는 인류와 함께해왔습니다. 이미 야생 동물을 사냥하는 선사 시대에도 전염병은 발생하였습니다. 하지만 인류가 더욱 발전하고 인구가 증가하면서 전염병의 발생과 전파가 더욱 쉽게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14세기 유럽에서 발생한 흑사병은 대유행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죽었습니다.

 

이때는 전염병의 원인을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예방책도 없었고, 치료도 어려웠습니다.

 

이후로도 수많은 전염병이 발생하였고, 그중 일부는 아직도 치료법이 없거나 예방접종이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하지만 인류는 전염병과 싸우기 위해 항생제, 백신, 예방접종 등 다양한 방법을 개발하였습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는 세균학적인 발전으로 인해 전염병 예방과 치료가 가능해졌습니다. 예를 들어, 대마초에서 추출된 항생물질인 페니실린은 20세기 초반에 발명되어 수많은 인명을 구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20세기 후반부터는 DNA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백신의 개발과 생산이 더욱 발전되었습니다.

 

현재는 세균과 바이러스를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감염 예방과 치료를 위한 신약 개발에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전염병은 인류에게 큰 위협을 주었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류는 끊임없이 노력해왔습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전염병 예방과 치료가 가능해졌으며, 앞으로도 인류는 더욱 발전된 기술과 노력으로 전염병을 극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전염병 유형
.
  1. 콜레라: 장에서 발생하는 박테리아로, 오랜 기간 깨끗하지 않은 물을 마시거나 오염된 음식을 먹으면 발생합니다. 빈곤한 지역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고열, 설사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심각한 경우 탈수로 사망할 수 있습니다. 세균학적인 향상과 공중위생 시스템의 개선으로 예방 및 치료 가능해졌습니다.
  2. 흑사병: 중세 유럽에서 발생한 세균성 전염병으로, 오랜 기간 발생한 경우 구더기가 전염체를 운반해 전염시킵니다. 고열, 발진, 관절통, 혈액관 충혈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심각한 경우 사망률이 50~60% 이상입니다.
  3. 에볼라: 중앙아프리카에서 발생한 바이러스로, 매우 강력한 출혈열을 일으킵니다. 고열, 설사, 구토, 출혈, 내장 손상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매우 높은 사망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4. 역병: 역사상 가장 위험한 전염병 중 하나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들이 고열과 발진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심각한 경우 뇌염, 폐렴 등으로 진행되어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18세기부터 백신과 예방접종이 발명되어 전세계적으로 예방이 가능해졌습니다.
  5. 간염: 간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로, 오랜 기간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간경변증, 간경변암 등의 질병을 일으키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간염 예방접종으로 예방 가능합니다

 

전염병 종류
  1. 바이러스성 전염병: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병으로, 인플루엔자, 간염, 간경변증 등이 있습니다.
  2. 세균성 전염병: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병으로, 장티푸스, 결핵, 봉와직균성 폐렴 등이 있습니다.
  3. 기생충성 전염병: 기생충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병으로, 말라리아, 사상충증, 소아마비 등이 있습니다.
  4. 진균성 전염병: 진균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병으로, 사발균증, 칸디다증, 홍반사균증 등이 있습니다.
  5. 프리온성 전염병: 비록 드물지만, 프리온이라는 이상 단백질이 원인인 전염병으로,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스크랩피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박테리오파지, 바이오테러, 동물간 전염병 등 다양한 종류의 전염병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전염병들은 인류에게 큰 위협을 주며, 예방과 치료에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